
1. 증시 중요 뉴스
1)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발언에 피로감…혼조 마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지루한 흐름을 보인 끝에 보합권에서 혼조로 마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부과 시점을 8월 1일 이후로는 연장하지 않겠다고 공언했으나 그가 숱하게 말을 번복해왔던 만큼 시장은 크게 개의치 않아
- 트럼프는 또 구리에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나 이 또한 예상된 재료였던 만큼 투심을 흔들지는 못해. 8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5.60포인트(0.37%) 내린 44,240.76에 거래를 마감
-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46포인트(0.07%) 떨어진 6,225.52, 나스닥종합지수는 5.95포인트(0.03%) 오른 20,418.46에 장을 마쳐
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한국산 제품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한미 관세협상 제2라운드가 시작
-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무역관계가 상호적이지 않다고 주장하며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14개국에 '상호관세' 서한을 발송. 서한에서는 "우리의 관계는 유감스럽게도 상호주의와 거리가 멀었다"면서 "2025년 8월 1일부터 우리는 미국으로 보낸 모든 한국산 제품에 겨우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이는 모든 품목별 관세와 별도"라고 적시
-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에서 "지금까지 미국에 닫혀 있던 시장을 개방하고 관세와 비관세(장벽) 정책과 무역장벽을 없앤다면 우리는 이 서한의 조정을 고려하겠다"며 "관세는 당신 나라와 우리의 관계에 따라서 위로든 아래로든 조정될 수 있다"고 전해. 이어 "어떤 이유로든 한국이 (대미) 관세를 올리기로 결정한다면 관세를 얼마나 높이기로 선택하든 25%에 그만큼이 더 추가될 것"이라고 적어
3) 트럼프 관세 경고ㆍ중동 긴장에 상승…WTI 0.6%↑
- 뉴욕 유가는 장 초반 하락세를 보이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과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이 부각되며 상승 전환해 마감
- 8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0.40달러(0.59%) 상승한 배럴당 68.33달러에 거래를 마감
-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9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0.57달러(0.82%) 오른 70.15달러에 마감. WTI와 브렌트유는 이틀 연속 올라
4) LG전자, 엔비디아 'AI 서버 냉각' 수주 눈앞
- LG전자가 엔비디아에 인공지능(AI) 서버용 액체 냉각 솔루션을 공급하는 방안을 협의. 마이크로소프트(MS)의 AI 데이터센터에 칠러(초대형 냉방기)를 공급하기로 합의한 데 이어 다른 빅테크로 냉난방공조(HVAC) 영토 넓히기에 나선 것. 액체 냉각은 AI 서버에서 나오는 열을 바람이 아니라 액체로 식히는 기술로, 2034년 750조원 규모로 커질 HVAC 시장의 최대 격전지로 꼽혀. LG전자는 AI 데이터센터 냉각 시장을 집중 공략해 2030년까지 HVAC 매출을 지금의 약 두 배인 20조원까지 늘린다는 계획.
- 이재성 LG전자 에코솔루션(ES)사업본부장(부사장)은 8일 서울 마곡동 LG사이언스파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냉각수분배장치(CDU)를 엔비디아에 공급하기 위해 품질 인증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혀. CDU는 AI서버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액체 냉각의 핵심 장치.
- LG전자는 연내 인증을 통과해 내년 엔비디아 공급망에 진입한다는 계획. 엔비디아는 지난해 냉각 방식을 공랭식(바람)에서 수랭식으로 바꿔. 수랭식은 공랭식에 비해 냉각 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전력 소모도 적어 AI 열관리의 대세가 될 것으로 업계는 예상
#LG전자 #케이엔솔 #경동나비엔 #이삭엔지니어링 #인성정보
5) 'K조선 카드'로 관세압박 돌파 … 한화, 美해군 MRO 또 수주
- 향후 3주간 치열하게 전개될 한미 관세협상에서 한국 정부는 조선 분야 협력 카드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밝혀. 관세협상이 통상 분야뿐만 아니라 주한미군의 역할 조정이나 방위비 분담금 증액 등 안보 이슈와 함께 논의되고 있는 만큼 조선업까지 테이블에 올리는 것이 유리하다는 전략적 판단으로 풀이.
-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8일 "한미 조선업 협력은 관세협상에서 '레버리지(지렛대)'만으로 쓰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혀. 단순히 미국에 양보하는 수준의 카드가 아니라는 뜻. 조선업과 함께 K방산 기업이 미국과 협력을 확대하면 수출 확대와 안보 강화라는 측면에서 한국에 불리하지 않아. 중국 조선업체의 글로벌 시장 잠식에 대처해야 하는 한국 기업에도 좋은 기회
- 한미 조선업 협력의 핵심은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은 이날 "미국 7함대 소속 군수물자 보급함인 '찰스 드루'함에 대한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혀. 한화오션이 미 해군 함정 수리 사업을 수주한 것은 이번이 세 번째. 찰스 드루함은 비전투함으로, 화물과 탄약 등을 보급하는 임무를 수행
#HD현대중공업 #한화엔진 #삼성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2. 전일 미국 · 유럽 증시
- 다우산업 : 44240.76 (-165.6p, -0.37%)
- S&P500 : 6225.52 (-4.46p, -0.07%)
- 나스닥 : 20418.46 (+5.95p, 0.03%)
- 영국 FTSE100 : 8854.18 (+47.65p, 0.54%)
- 프랑스 CAC40 : 7766.71 (+43.24p, 0.56%)
- 독일 DAX : 24206.91 (+133.24p, 0.55%)
- 유로스톡스50 : 5371.95 (+30.41p, 0.57%)
- 주요뉴스 및 시황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발언에 피로감…혼조 마감
- 뉴욕상품거래소에서 8월물 금 선물가격은 전날 대비 25.9달러(-0.77%) 상승한 온스당 3,316.90달러에 거래를 마감
- 미국 국채 2년물 금리는 직전 거래일 대비 0.6bp 내린 3.897%를 기록
-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직전 거래일 대비 0.1bp 오른 4.405%를 기록
-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는 전장대비 0.03% 내린 97.17을 기록
3. Today 관심 레포트
- 한화시스템: 멈추지 않는 방산 사업부 성장 (DS투자증권, BUY, 목표주가 6.7만원)
- 폴란드 K2 2차, 이라크 천궁-II MFR이 하반기 수주잔고에 반영될 전망. 계약 금액은 각각 약 4천억원, 1조 1,000억원으로 예상
- 폴란드 K2 2차 계약 총 180 대 중 K2PL(현지생산)이 63대로 동사는 기존 전투체계에 더해 K2PL의 능동방호시 스템 레이다 등 업그레이드용 장비 다수를 수주할 것. 투자 포인트는 1) Peer 그룹 대비 여전히 높은 26년 영업이익 성장률(+36.5%)
- 2) 필리조선소의 그룹 해운사 '한화쉬핑'으로부터 탱커선 등의 캡티브 수주 기대 및 CV선 매출 인식 비중 증가에 따른 흑자 전환 3) 수출 파이프라인 다변화를 통한 수출 기회 확대 및 수익성 개선 속도 증가
- 신한지주: 목표 PBR 상향, 환원 모멘텀 강화 (상상인증권, BUY, 목표주가 8.6만원)
- 목표주가 상향 배경은 1) 추정 RWA 증가폭 조정에 따라 RORWA가 기존 1.37%에서 1.40%로 개선되며 수익성 기대치가 높아졌고, 2) 예상 주주한원 규모가 기존 4,000억원에서 최소 4,600억원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
- 연간 RWA 성장률 추정치를 조정함에 따라, 연간 자사주 매입·소각 규모는 최소 4,600억원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 특히, 원/달러 환율 하락이 CET1 자본에 반영되는 구조임을 고려할 때, 환율 하라 추세가 지속된다면 자사주 매입 여력은 추가 확대될 가능성도 커
-7월 중 관련 보완입법도 예고되어 있어, 상반기 외국인 순매도세가 이어졌던 흐름과는 달리, 하반기에는 외국인 수급이 우호적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 이마트: 순수 내수 업체로서 부각 (하나증권, BUY, 목표주가 12만원)
- 2분기 연결 순매출은 7조 1,027억원(YoY 1%), 영업이익은 376억원(YoY +723억원, 흑전)으로 시장기대치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본업인 할인점 기존점은 YoY -1%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나, 별도(할인점+트레이더스+에브리데이 합산) 부문 영업이익은 191억원으로 전년대비 흑자 전환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예상
- 실적 턴어라운드의 강도는 하반기 로 갈수록 강해질 것으로 판단. 1) 기저부담 완화와 소비 개선 효과. 전년도 3분기 할인점 기존점은 2.9%, 4분기는 -4.1%를 기록하며 실적 베이스는 부담 없으며, 내수 활성화 등 가계 구매력 개선 시 추가적인 매출 성장도 기대. 할인점은 매출 규모 가 워낙에 크기 때문에 1% 성장만으로도 레버리지 효과는 클 수 있어
- 2) 점유율 확대. 7월 말을 기점으로 경쟁사의 폐점이 순차적으로 예정되어 있고, 상권이 중요한 할인점 사업 특성 상 반사 수혜가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 하반기에는 외형 성장으로 추가적인 추정치 상승여력이 열려있다고 전망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