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증시 중요 뉴스
1) 뉴욕증시, 트럼프-머스크 갈등 속 혼조 마감…다우 0.9% 상승
-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3분기 첫 거래일인 1일(현지시간), 미국과 주요국 간 무역 협상 상황,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간의 갈등, 금리 인하 가능성 등을 둘러싼 불확실성 속 혼조로 마감.
- 전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와 나스닥 종합지수는 숨 고르기에 들어간 반면,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대형 헬스케어 주 강세에 힘입어 상승 마감
-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00.17포인트(0.91%) 오른 44,494.94에 거래를 마쳐. 반면, S&P 500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94 포인트(0.11%) 내린 6,198.0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66.84포인트(0.82%) 하락한 20,202.89에 각각 마감.
2) 李 "부동산 대신 주식시장이 투자 수단 돼야"
- 이재명 대통령이 1일 "주택이 투자나 투기 수단이 되면서 주거 불안정을 초래해왔다"며 "최근 주식시장과 금융시장이 대체 투자 수단으로 자리 잡아가는 흐름을 잘 유지해야 한다"고 밝혀
-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28회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최근 주택, 부동산 문제 때문에 약간의 혼선과 혼란들이 있었다"면서 이같이 말해. 금융당국이 대출 규제를 강화한 이후 대통령이 직접 관련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
- 지난달 11일 한국거래소를 방문한 자리에서는 "국민들께서 주식 투자를 통해 중간 배당도 받고 생활비도 할 수 있게, 부동산에 버금가는 대체 투자 수단으로 만들면 기업 자본 조달도 쉬워지고 경제 전체가 선순환할 것"이라고 말해. 이날 국무회의 발언 역시 이러한 기조의 연장선으로, 부동산에 묶였던 자산을 자본시장으로 이동시키는 정책을 추진해나가겠다는 신호.
3) 美 지표 호조 속 트럼프 "비축유 채우겠다"…WTI, 0.5%↑
- 뉴욕 유가는 미국 경제지표 호조 속에 하루 만에 반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략비축유(SPR)를 확충하겠다는 언급을 한 것도 유가 상승을 거들어.
- 1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0.34달러(0.52%) 오른 배럴당 65.45달러에 거래를 마감.
-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9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0.37달러(0.55%) 상승한 배럴당 67.11달러에 마감.
4) MS "의사보다 진단 4배 잘하는 AI 개발...'의료 초지능' 시대 연다"
- 미국 정보기술(IT)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가 인간 의사의 역량을 뛰어넘는 의료 인공지능(AI)을 개발했다고 발표하며 '의료 초지능'으로 가는 길을 열었다고 자평. 아직 상용화 단계는 아니지만, 추후 의료 현장에 적용된다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게 MS의 설명.
-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 가디언 등에 따르면 MS는 진단이 매우 복잡하고 까다로운 사례에 대해 분석하고 진단을 내리는 의료 AI 도구인 '마이크로소프트 AI 진단 오케스트레이터'를 개발했다고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밝혀.
- MS의 AI 헬스부문 최고경영자(CEO)인 무스타파 술레이만은 테스트 결과 "인간보다 조금 더 나은 수준이 아니라 인간의 성과를 압도적으로 능가했다"고 자찬.
#루닛 #뷰노 #코어라인소프트 #토모큐브 #보로노이
5) “AI칩 급성장”…삼성전자 '평택 P5' 2년만에 재개 추진
- 삼성전자(005930)가 최첨단 반도체 생산 시설인 평택 5공장(P5) 건립을 2년 만에 재개할지 주목.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고전해온 고대역폭메모리(HBM)와 차세대 D램 기술력이 개선되는 데다 향후 수년간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이 급성장해나갈 것이 확실해지자 국내 신규 설비투자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 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경영진은 P5 공사 및 투자 재개를 놓고 긴밀히 논의 중. 이미 P5 공사 현장에는 일부 인력이 투입돼 건설자재를 재정비하는 등 작업에 돌입. 업계에서는 이르면 10월쯤 각종 중장비가 건설 현장에 본격 투입될 것으로 보고 있어.
- P5는 삼성전자 반도체(DS) 부문이 평택 캠퍼스에 다섯 번째로 건립하는 반도체 공장. 가로 650m, 세로 195m 면적으로 지어질 초대형 설비인 P5에는 30조 원 이상이 투입될 것으로 추산되며 D램과 낸드플래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라인을 갖출 수 있는 복합 팹이 될 것으로 기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한화비전 #이오테크닉스 #주성엔지니어링
2. 전일 미국 · 유럽 증시
- 다우산업 : 44494.94 (+400.17p, 0.91%)
- S&P500 : 6198.01 (-6.94p, -0.11%)
- 나스닥 : 20202.89 (-166.85p, -0.82%)
- 영국 FTSE100 : 8785.33 (+24.37p, 0.28%)
- 프랑스 CAC40 : 7662.59 (-3.32p, -0.04%)
- 독일 DAX : 23673.29 (-236.32p, -0.99%)
- 유로스톡스50 : 5282.43 (-20.81p, -0.39%)
- 주요뉴스 및 시황
- 뉴욕증시, 트럼프-머스크 갈등 속 혼조 마감…다우 0.9% 상승
- 뉴욕상품거래소에서 6월물 금 선물가격은 전날 대비 42.1달러(+1.27%) 상승한 온스당 3,349.80달러에 거래를 마감
- 미국 국채 2년물 금리는 직전 거래일 대비 5.2bp 오른 3.772%를 기록
-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직전 거래일 대비 1.6bp 오른 4.242%를 기록
-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는 전장대비 0.03% 내린 96.46을 기록
3. Today 관심 레포트
- 효성중공업: 건설, 바닥 다지기. 중공업, 고공 비행 (LS증권, BUY, 목표주가 120만원)
- 2Q25 연결영업실적은 매출 13,418억원(yoy +12%), 영업이익 1,249억원(yoy +99%), 영업이익률 9.3%(yoy 4.1%P↑)로서 YoY 대호조 지속되며 당사 및 컨센서스 전망치 부합 전망.
- 부문별로는 건설부문은 건설경기 불황에 따른 부진 지속되나 전분기 대비 매출 yoy 감소세 안정화, 수익성 다소 개선 등 바닥 다지는 가운데 중공업부문은 전력기기 업황 호황 바탕으로 대호조 지속 예상.
- 2Q25 연결영업이익률은 9.3%로서 YoY 4.1%P 대폭 개선 전망. 중공업부문은 11.3%로서 YoY 2.6% 대폭 개선 전망. 건설부문도 5.2%로서 YoY 5.7%P 대폭 개선 전망
- 롯데정밀화학: 신속한 재무구조 개선 (DB증권, BUY, 목표주가 5.7만원)
- 미국/유럽이 한국산 에폭시에 우호적인 반덤핑/상계 관세를 발 표하면서 상대적으로 단가가 높은 미국/유럽향 에폭시 수출 증가, 미국/유럽 에폭시 업체들의 가동률 상승에 따른 ECH(에폭시 원재료) 수출 확대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또한 글리세린 강세 가 이어지며 글리세린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중국 ECH 가격 역시 반등
- 프로필렌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동사 기준 ECH spread는 6월 평균 $891/t으로 이론상 BEP 수준 근접. 24년 -876 억원(-38% opm)으로 추정되는 최악의 적자 상황이었던 ECH의 턴어라운드 기대감을 키울 시점
- 25년말 식의약용 0.6만 톤 증설로 글로벌 m/s 1위 달성. 북미를 중심으로 본격 판매량이 증가하며 26년 이후 그린소재 실적 성장 재개될 것. 정기보수 영향이 마무리되고 ECH 시황 개선이 반영되면서 하반기는 케미칼 중심의 반등 전망. 분기 실적 저점을 통과하고 있기에 비중확대 적기라 판단.
- 현대힘스 2Q25 Preview: 날개다는 항만 크레인 (현대차증권, BUY, 목표주가 3만원)
- 동사의 2Q25 실적은 매출액 615억원(+5.4% qoq, +6.8% yoy), 영업이익 82억원(+13.9% qoq, +20.1% yoy)를 기록할 것
- 동사의 크레인 생산 캐파는 현재 연간 10기에서 최대 12~14기까지 확대될 것이며, 추가적으로 미국 수주에 따른 캐파 증설에 따른 매출 증가 업사이드 기대
- 동사는 7월 1일 광양항 자동화 부두 DTQC 공사와 관련하여 215억원 규모의 항만크레인을 수주 받았다고 공시하였음. 국내는 2031년 진해신항 등 신규항만까지 총 186대, 2.2조원 규모의 신규 크레인이 발주될 예정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