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정보

한국경제TV 기사만  

클래시스 사상 최고가 경신, 피부용 의료시술 시장 성장세 2025-02-26 09:25:17

- 클래시스 주가가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으며, 장중 23%까지 급등 후 현재 13% 상승을 전후로 움직임. - 삼성전자 인수설 부인에도 불구하고 피부용 의료시술 시장 확대 및 해당 분야 기업들에 대한 관심 필요성 강조. - 과거 삼성의 메디슨 인수 사례를 언급하며, 단순한 기대감으로 인한 투자는 위험하다고 지적. - 톡신 시장의 성장성 강조하며, 미국과 중국 시장 모두 진출 예정인 휴젤을 주목해야 한다고 추천. 또한 파마리서치 등 다른 관련 기업들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

코스닥, 의료정밀 · 금속업종 강세...클래시스, 삼성전자 인수설에 13%↑ 2025-02-26 09:24:59

- 코스닥 지수 0.21% 상승, 771선 기록 중 - 의료 정밀기기, 금속, 금융, 비금속 업종 강세, 기계 장비, 출판 매체 복제, 일반 서비스 업종 부진 - 클래시스, 삼성전자의 베인캐피탈 보유 지분 인수설에 13% 상승, 하이로닉과 비올도 동반 상승 - 금속 업종 내 구리 관련주 상승, KBI메탈 5% 이상 상승 - 기계 장비 업종 내 로봇주 약세, 유일로보틱스 4.82% 하락 -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클래시스,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 강세, 알테오젠, 삼천당제약, 리켐바이오 약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우주항공 투자에 사상 최고가 2025-02-26 09:24:46

-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사상 최고가를 경신 중이며, 올해 들어 110% 넘게 상승함. - 정부가 2조 원을 투입해 우주항공과 관련한 재사용 분야에 투자한다는 소식이 전해짐. - 방산주인 LIG넥스원, 현대로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돌아가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함. -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PER이 15배에서 20배로 상승 후, 실적 발표 후 16배로 하락했으나 최근 다시 20배로 상승함. - 조선, 방산, 전력 설비, 엔터 4개 섹터가 수주 베이스로 실적이 찍히고 있으며, 엔터는 한한령 해제 기대감으로 변동성이 일부 커짐. - 현대로템은 가장 저렴한 15.2배에서 거래되고 있어 매수를 추천하며, 조정 시 10일선 전후까지 비중 확대를 제안함.

엇갈린 출발.. 운송장비·부품, 제약업종 강세 2025-02-26 09:24:32

- 코스피는 0.03% 하락한 2628선, 코스닥은 0.05% 내린 769선에서 등락 중임. - 운송장비와 부품, 제약, 통신, 비금속, IT서비스 업종 상승세 보임. - 삼성공조는 엔비디아의 냉각 공조 관련 국내 파트너사 모색 소식에 11% 상승함. - 현대로템은 모로코로부터 2조 2천억 원 규모의 전동차 사업 수주 소식에 4% 오름. - 삼성중공업은 브라질 페트로 관련 탱크선 9척 수주 소식에 3.58% 상승함. - 셀트리온은 올해 목표 매출액 5조 원 제시 후 3% 상승함.

"2차 전지주, 로봇용 배터리 시장 확대로 긍정적" 2025-02-26 09:00:16

- 2차 전지주가 전기차 시장 외에도 로봇용 배터리 시장 확대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됨. 2030년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는 약 90조 원으로 예측되며, 국내 배터리사인 삼성 SDI와 테슬라의 LG에너지솔루션이 각각 현대차 및 글로벌 로봇 기업과 협력 중임. - 이러한 상황에서 LFP보다 지속성과 충방전 시간이 여유로운 NCM의 장점이 부각될 것으로 판단됨. - 한국 바이오 기업들이 올해 신약 수출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낼 것이란 전망이 제시됨. 한경 베스트 애널리스트와 제약바이오 산업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이 마련될 예정임. - 선물옵션 개장 상황에서는 풋옵션 342(2590포인트)와 콜옵션 350(2650포인트)이 주로 거래되고 있으며, 선물은 0.80포인트 하락함. 미국 나스닥 시장이 4일 연속 하락하면서 조정 구간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아짐.

"카페24 어닝서프라이즈, 테슬라 주가 8.39% 급락" 2025-02-26 08:59:57

- 카페24가 영업이익 기준 130억원을 기록하며 컨센서스 89억원을 46% 상회함. - 유튜브 쇼핑 시장 침투 및 해당 시장에서의 높은 참여 제품 수 증가로 인한 기대감 상승 중. - AI를 기반으로 한 쇼핑 및 소프트웨어로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들이 증가 추세이며, 이러한 분야의 주식들은 다소 고평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시장 개척에 대한 프리미엄으로 인해 주가가 떨어지지 않음. - 테슬라는 유럽 판매 둔화와 오너 리스크 등으로 인해 주가가 8.39% 급락함. - 전반적인 전기차 업체 동향은 양극재 출하량과 가격 하락 등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일부 개별적인 모멘텀과 공매도 재개에 따른 숏커버 등으로 인해 최근 주가가 상승했음.

반도체주 하락 속 엔비디아 실적 발표에 주목 2025-02-26 08:51:38


- 미국 반도체주 하락 속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에 주목.
- 엔비디아의 1월 말까지의 실적은 380억 불로 전 분기 대비 8%, 전년 동기 대비 72% 성장 추정.
- 시장의 관심은 실적 발표 이후 콘퍼런스 콜에서 젠슨 황 CEO의 발언에 집중.
- 특히 1분기 가이던스, 블랙웰 출하량, AI CAPEX 투자 축소 여부, 신규 메모리 표준 관련 코멘트에 따라 관련 종목 주가 변동 가능성 존재.

MWC 2025, 최대 화두는 AI와 6G...관련주는? 2025-02-26 08:46:11

- 오는 3월 스페인에서 열리는 MWC 2025에 국내 통신 3사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참여할 예정이며, 최대 화두는 AI와 커넥트 관련 5G, 6G 통신망임. - 이번 MWC에서는 AI 솔루션 중 하나인 HBM(고대역폭 메모리)이 주목받을 것으로 보임. 특히, HBM의 최신 버전인 HBM4에 대한 기술 개발과 양산 계획이 발표될 가능성이 높음. - HBM4를 탑재한 GPU가 2025년부터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해당 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인앤아웃 단자 및 어드밴스드 패키징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이러한 수요 증가로 인해 SK하이닉스, 피에스케이홀딩스, 파크시스템스 등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됨. - 또한, AI 시장에서 6G의 중요성이 부각될 것으로 보이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론트홀 및 MLB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이로 인해 에치에프알, 이수페타시스 등이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음. - 반도체 분야에서는 피에스케이홀딩스와 테크윙을 선호하며, 5G·6G 관련 종목 중에서는 이수페타시스를 추천함. 다만, 이수페타시스는 고평가되어 있으므로 조정을 이용한 매매 전략이 유효하다고 판단됨.

불황 이겨낸 MLCC 시장..."삼성전기 목표가 17만원" 2025-02-26 08:34:02

- MLCC 시장이 최근 3년간 불황이었으나, 중국의 경기 부양책과 AI 관련 수요 증대 예상으로 올해 업사이클 기대 중임. - 중국의 이구환신 정책으로 MLCC 수요 증가 기대되며, AI 시장 확대로 MLCC 수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임. - 자율주행 단계 상승 및 로봇, 우주항공 분야에서도 MLCC 탑재되어 긍정적임. - 다수의 증권사가 커버하고 있는 삼성전기를 투자 대상으로 추천하며, PER 15.7배로 부담스럽지 않고 최근 수급도 좋아 직전 고점인 17만 원대까지 상승 가능성 있음.

유가 내리고 금값 주춤...주목받는 로봇ETF 2025-02-26 08:32:37

- 국제유가 2%대 내림세. 원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이란에 대한 추가 제재, 미국의 2월 소비자신뢰지수 하락 등. WTI는 69달러 초반, 브렌트유는 73달러 초반대로 2개월 내 최저치. 반면 천연가스는 3% 오름세. - 주요 금속 선물 일제히 하락. 팔라듐 1%대, 구리 0.3% 하락. 금 선물은 전장 올 들어 11번째 신고가 경신 후 현재 차익 실현 매물 출회로 하방 압력 받는 중. 2924달러 선이며 은도 2% 내려 일주일 만에 최저 수준. - 암호화폐 시황은 인플레이션 우려에 시장 위축.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등 불확실성 확대로 비트코인 약세. 현재 비트코인은 9만 달러 선 붕괴되며 8만 8천 달러 대, 이더리움도 2500달러 아래로 내려옴. 지난달 고점 대비 20% 하락. - 뉴욕 증시 3대 지수 혼조세 보이며 3대 지수를 추종하는 ETF도 혼조된 흐름 보임. 섹터 별로는 경기 방어 업종인 XLP 필수소비재 ETF가 선방, SOXX 반도체 ETF부진. - 피규어 AI가 한층 더 발전된 인공지능 로봇 헬릭스 공개. 국내 외 증시에서 로봇 관련주 상승세. 특히 코스닥 상장사 중 로봇 관련주는 올 들어 100% 상승, 중국의 한 기업은 해당 부품 개발 발표 후 8거래일 동안 114% 급등. - 로봇 관련 ETF로는 글로벌 로봇 및 인공지능 ETF 티커명 BOTZ, 글로벌 로봇 및 자동화 ETF 티커명 ROBO, 나스닥에 상장된 인공지능 및 로봇 관련 기업 집중하는 특허명 ROBT, 자율주행과 로봇 공학 기업 중 혁신 기업 투자하는 아크 자동화 및 로보틱스 ETF 티커명 ARKQ 있음. - 테슬라, 메타, 알파벳 등 빅테크 기업이 로봇 경쟁에 참여하며 로봇 산업이 게임 체인저로 주목 받는 중. 상용화까지 시간 소요될 것이나 어떤 기업이 주도권 잡을지 행보 주목할 만 함.

하이브·심텍 증권사 목표가 줄상향... 이유는? 2025-02-26 08:29:04

- 하이브 : BTS가 오는 6월 전역을 앞두고 있으며, 4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하회. 올해 BTS 컴백과 월드 투어가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되며, 2023년 멤버 슈가의 솔로 월드 투어시 이익 기여도가 높았음. 올해 영업이익은 약 3천억 원으로 예상됨. - 심텍 : 3개월간 주가가 55% 상승했으며, DB금융투자가 목표주가를 22,000원으로 상향조정. 지난해 영업 적자는 470억 원으로 전방 수요 개선과 수익성 악화를 겪고 있으나 GDDR7, AI항 SSD, CXL 등 신규 아이템 추가 예상되어 펀더멘탈과 레거시 회복 기대감이 부각 됨.

SK하이닉스 매수 기회?...엇갈린 증권가 의견 2025-02-26 08:27:54

- SK하이닉스 주가는 4거래일 연속 하락 중이며, 증권가에서는 매수 기회라는 긍정론과 AI에 대한 투심이 꺾였다는 부정론이 대립중임. - 낙관론 : AI설비투자는 아직 끝나지 않았으며, 데이터 센터 증가로 인해 HBM의 호황은 지속될 것으로 봄. - 비관론 : 마이크로소프트의 데이터센터 임대 취소 및 엔비디아, 팔란티어, 마이크론 등의 주가 급락세로 보아 HBM의 열풍이 끝날 가능성이 있다고 봄. - 작년 대비 SK하이닉스의 상승률은 200%이나 이미 HBM호재가 상당부분 주가에 반영되어 추가 상승은 어려울 것으로 보임.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차이는 HBM수혜 여부로, 삼성전자는 해당 수혜를 받지 못함. 따라서 삼성전자는 계좌의 20%, SK하이닉스는 10%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함.

셀트리온, 연 매출 3조 5천억 원 돌파...올해 전망은? 2025-02-26 08:21:56


- 셀트리온, 작년 연 매출 3조 5천억 원 및 4분기 매출 1조 원 돌파
- 연결매출액 전년 대비 63% 증가, 영업이익은 24% 감소
- 미국 내 짐펜트라 품목 매출 증가세 주목 필요
-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 성장이 높게 설정되는 컨센서스 보유, 목표 매출 5조 원 제시
- 바이오시밀러 라인업 및 신약 개발 확대 계획
- 현 주가 수준에서 분할 매수 대응 유효

손 맞잡은 K-방산..."성장세 지속 기대" 2025-02-26 08:07:53

- 유럽 방산주의 강세 속 국내 방산업계도 원팀으로 뭉침. - 이라크 천공2 수출 관련 한화와 LIG넥스원의 갈등 및 LG 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의 MOU 체결로 갈등 해결. - 이러한 협력은 정부의 중재로 이루어졌으며, 향후에도 정부의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전망. - 현재 방산업종의 주가가 많이 상승한 상태이므로 신규 매수는 고점 대비 10~20% 조정 시 추천. - 특히 4대 방산주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현대로템, 한국항공우주는 주목할 만함. - 현대로템은 아프리카 전동차 사업 수주 성공했으며 이는 시장 예상치 부합하나 단기 급등 시 매수 자제 권고.

"K-푸드, LNG 관련주 성장세 지속 전망" 2025-02-26 08:06:36

- K-푸드 관련주: 삼양식품, 빙그레, 풀무원 등의 기업들은 지난해 K-푸드 수출 호조와 환율 효과로 실적이 개선되었으며, 올해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됨. 특히, 삼양식품은 수출 비중이 77%를 넘으며, 불닭볶음면의 인기로 생산량 확대를 계획하고 있음. - LNG 관련주 : 삼성중공업은 FLNG 시장에서 글로벌 1위 기업으로 미국의 중국 제재로 인해 성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태광은 피팅 및 배관 설비 관련 종목으로 미국의 LNG 터미널 확충으로 인한 수혜가 예상됨. - 풀무원은 달걀과 두부 식품의 미국 내 수요 증가로 작년도와 올해 매출이 크게 신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급식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음. 목표주가를 1만 9천원으로 상향 조정함.

포스코인터, 주주환원 강화...카페24, 흑자 전환 성공 2025-02-26 07:52:08

요약 리스트 1. 포스코인터내셔널 : 지난해 12월 기업 가치 제고 계획을 통해 2025년, 27년 주주 환원율 50% 달성, 중간 배당 도입 발표함. 2024년 주당 배당금은 23년 대비 55% 상향한 1550원으로 결정됨. 에너지 사업을 중심으로 중장기 성장을 위한 투자 및 2차 전지 사업 부분에서의 공급량과 생산량 증대로 이익 증대를 이뤄낼 것으로 전망함. 2. 카페24 :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161억 원으로 흑자전환하며 컨센서스를 대폭 상회하는 실적을 달성함. 유튜브 쇼핑 전용 스토어 기능 출시 및 구글과의 제휴로 인한 성과로 판단되며 이는 올해에도 주가 상승을 이끌 요인으로 보임.

금리 인하로 낙폭 축소..화장품·원전株 강세 2025-02-26 07:51:24

- 전일장 국내 시장은 미국 기술주들의 급락 여파 속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25bp 인하로 낙폭 축소함. - 삼성중공업은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 가능성과 미국의 중국 선박 수수료 부과 소식에 8% 급등. - 금양은 2만 원 선 유지하나 6% 급락, 하이브는 중국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 2% 상승.

추가 인하 시사한 BOK..."적정규모 추경도 필요" 2025-02-26 07:36:34

- 한국은행, 기준금리 0.25% 포인트 인하 및 올해 성장률 전망 1.5%로 하향 조정. - 이번 금리 인하는 만장일치로 이루어졌으며, 향후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도 시사됨. - 한국은행 총재는 통화 정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추경의 필요성을 강조함. - 미국 정부의 중국 해운과 조선업 견제가 구체화되며, 한국 조선사들의 수혜 기대감 상승. - JP 모건은 한국 조선사들이 LNGC, 해양 플랜트, 방산 특수선, AI 디지털 솔루션 등에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HD 현대 그룹과 삼성중공업의 수주 전망이 긍정적이라고 밝힘. - 조선주들은 지난주 하선 리포트에 크게 밀렸으나, 긍정적인 모멘텀과 함께 어제 강한 상승세를 보임.

시간외 거래 강세, 카페24·메드팩토 상한가...동성화인텍·JYP Ent.도 주목 2025-02-26 07:35:24


- 시간외 거래에서 메드팩토와 카페24가 상한가를 기록함.
- 카페24는 지난해 영업이익 319억 원으로 흑자 전환했으며, 전년 대비 132% 증가했음.
- 동성화인텍은 LNG 시장 성장세 속에서 신규 타입의 보랭재 생산 확대로 시장 수요 변화에 대응중임.
- 중국 선박에 대한 미국의 견제 본격화로 조선주인 현대중공업, 한화오션, HD한국조선해양이 상승함.
- 코스닥에서는 JYP Ent.가 71억 원 매수되며 상승세를 보임.
- 포스코인터내셜은 미국 셰일가스 사업 투자로 생산량이 증가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미국 에너지 시장에서의 사업 확장을 추진중임.

조선·바이오 업종 주목...한화엔진·메드팩토 향후 전망은? 2025-02-26 07:33:59

- 한화엔진: 800억 원 규모의 신규 시설 투자 공시는 수주 잔고 증가에 따른 새로운 물량 생산을 위한 결정이며 엔진 단가 상승 및 선박 엔진 자체 실적 호조세로 연간 매출액 대비 3년 체제를 꾸준히 이어갈 것으로 전망됨. 지난해 말 수주 잔고가 3조 4천억이었으며 올해 1분기 수준을 감안하면 수주 잔고가 4조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임. 미국의 중국 선박 회사 견제로 국내 조선사들의 수주가 증가할 것으로 보여 엔진 수요 또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어 선제적인 신규 시설 투자라 판단되며 주가 조정도 충분히 받은 상황이라 매수 관점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판단함. - 메드팩토: 결정 직장암, 위암 환자 대상 백토서팁과 키트루다 병용 임상 1상 결과가 좋게 나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FDA로부터 전이성 대장암 임상 2상 계획을 승인 받음. 2상에서는 생존 기간 연장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글로벌 다국적 제약사의 블록버스터 항암제와의 병용 임상이므로 결과치가 좋을 경우 주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 판단함. 학회에서의 연구 결과 발표 등을 팔로업 하며 포트폴리오의 매매 관점으로 접근 필요.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