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美 경제지표 악화일로...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증폭 2025-04-02 16:32:45
- GDP NOW가 컨센서스인 마이너스 1.8 보다 낮은 마이너스 2.8로 발표되며 경제 위축 우려 증가 - ISM 제조업 지표가 49로 나타나며 예상치인 49.5 하회, 신규 주문 건수 두 달 연속 큰 폭 감소 - S&P 글로벌 제조업 PMI는 50.2로 확장 국면이나 해외 공장 포함 시 49로 수축 국면 우려 - 고용지표 또한 시장 기대에 못 미칠 가능성 존재, 금주 수~금이 매우 중요한 시기로 판단
유료 25% 관세 현실화, 국내 자동차 산업 영향은 2025-04-02 16:32:28
● 핵심 포인트 - 한국 자동차 생산량 중 67%를 수출하며, 그중 대미 수출이 전체 수출의 반, 전체 생산량의 1/3을 차지함. 특히 현대기아의 자동차 수출 비중이 높음. - 내일(4월 3일)부터 25% 관세가 발표와 함께 적용되며, 기존의 관세에 추가로 적용됨. 한국은 FTA로 인해 0%의 관세를 적용받고 있었다면 25%가 추가로 붙게 됨. 다른 나라는 기존 자동차 관세가 2.5%이므로 27.5%의 관세를 내게 됨. 단, 부품은 한 달 정도 늦게 시행됨. - 관세로 인해 차량 가격 상승, 미국 내 생산 제품 대비 가격 경쟁력 약화, 수출량 감소, 생산 비용 상승에 따른 원가 상승 부담으로 인한 수익률 감소가 예상됨. 이는 현대차뿐만 아니라 부품사에도 해당됨. - 관세 부과 시 소비자 가격 인상 및 수요 감소 가능성이 있으며, 현재 현대차의 미국 차 판매량은 6개월 연속 최고치를 달성함. 그러나 관세 부과 이후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이 존재함. - 2차 전지의 경우 이미 어느 정도 선 반영되었다고 보지만, 자신감에 찬 투자자가 적어 외국인 투자 입장에서는 불확실성이 존재함. 인내를 가지고 기다리는 것이 필요할 수 있음.
무료 "국내 제조업체 60%, 트럼프발 관세 정책 영향권" 2025-04-02 16:29:33
● 핵심 포인트 - 2025년 4월 2일 대한상공회의소 발표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체 2107개사 중 60%가 트럼프발 관세 정책의 직·간접 영향권에 있음. - 특히 배터리 84.6%, 자동차 부품 81.4% 등 두 업종은 미국 시장 비중이 80% 초과함. - 반도체, 전기장비, 의료정밀, 전자통신 등 기타 수출 효자 업종 또한 미국 시장 비중이 50% 이상인 것으로 확인됨.
유료 원자재 가격 상승 지속될까…구리·금 가격 상승 2025-04-02 16:29:12
● 핵심 포인트 - 2025년 4월 2일 앵커는 원자재 가격 상승 중 특히 구리와 금 가격의 상승 원인과 전망에 대해 질문함. - 전문가는 먼저 구리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미국의 25% 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하며, 이로 인해 글로벌 구리 수요가 감소할 우려가 있다고 설명함. - 또한, 이러한 추세가 지속되지 않을 것으로 예측하며, 올 하반기에는 구리 가격이 8000달러대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함. - 이어서 금 가격 상승 역시 스프레드 거래 및 심리적 요인에 기인한다고 분석하며, 물가 지수 상승으로 인한 미국 금리 상승 압력이 커질 경우 금 가격이 다소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봄.
무료 트럼프 대통령, 상호 관세 보복 행보…"추가 정책 가능성" 2025-04-02 16:15:31
● 핵심 포인트 - 미 무역대표부(USTR)의 무역장벽 보고서 제출 기한이 다가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대상국과 내용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 - 특히 이번 보고서에서는 전자상거래 및 디지털 관련 내용이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의 경우 기존에 발표된 관세에 추가적인 상호관세가 더해질 가능성이 있음. - 2018년 중국산 철강재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이후, 바이든 행정부에서는 중국산 우회 수출을 방지하기 위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 바 있어, 한국 또한 중복적인 관세 적용이 우려됨. - 트럼프 행정부에서는 국가별로 적용할 수 있는 적용률을 주장하고 있어 중복 적용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함.
유료 외국인 매도 공세...코스피·코스닥 하락 마감 2025-04-02 16:12:23
- 양 시장 모두 하락 마감 : 코스피 0.62% 하락한 2505포인트, 코스닥 0.95% 빠진 684선 - 외국인 매도 지속 : 4거래일 연속 현물 시장에서 3조 원 이상 매도 중 -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 7200억 원, 코스닥 2600억 원 넘게 매도 - 반면 선물시장에서 외국인은 9200억 원 넘게 매도 - 시가총액 상위 종목 대부분 하락 : 2차 전지와 바이오의 투자심리 위축 - 삼성전자 및 하이닉스 보합, LG에너지솔루션 소폭 상승 - 외국인 매수 종목 : 금융주 특히 KB금융 1% 넘게 상승 -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 다수 하락 : 에이비엘바이오, 알테오젠, HLB, 코오롱티슈진 등 - 일부 미용 의료기기 섹터 약진 : 휴젤, 클래시스, 파마리서치 등 - 전반적으로 경기 방어주 성격의 업종 선방 : 증권, 음식료, 담배, 부동산 등
유료 외국인 매도세 진정될까?..."2,500선 지지력 테스트" 2025-04-02 15:56:39
● 핵심 포인트 - 코스피 지수가 2500선에서 저항력을 테스트 중이며, 탄핵 정국 관련 불확실성도 존재하나 외국인의 매물 출회는 다소 진정될 가능성이 있음. - 미국발 관세 부과 조치 및 각종 시나리오에 따라 외국인 투자자들의 행보가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주시할 필요가 있음.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도의 반도체 섹터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칩스법 재협상 이슈가 있으나, 주가에는 이미 해당 사안이 반영되어 있으며 오히려 추가 투자 시 보조금 수령 가능성도 있으므로 부정적으로만 해석할 필요는 없음.
유료 증시 급락세, 높아지는 관세 경계감...외국인 4일간 3조 매도 2025-04-02 15:47:15
- 국내 증시는 관세 경계감이 높아지면서 급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외국인이 현물 시장에서 4일 동안 3조 원을 매도함. -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관세 부과 여부에 따라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 미국 중심의 정치적 불확실성과 경기 둔화 우려가 겹쳐지며 이러한 상황에서 연준이나 정부의 방어책이 필요하나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코스피 거래대금 상위 종목으로는 삼성전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오션, 현대로템 등이 있으며 코스닥 시장에서는 동신건설, 에이텍 등 개별 테마성 종목들이 급등함. - USTR에서 발표한 무역 현황 보고서에서는 한미 FTA로 인한 무역 환경을 우호적으로 평가하면서도 21건의 비관세 조치를 지적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미국이 원하는 바에 따른 추가적인 관세나 조치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음.
유료 상호 관세 발표 D-1, 환율 안정세...1466.6원 2025-04-02 15:40:56
● 핵심 포인트 - 2025년 4월 2일 주간장 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5.3원 내린 1,466.6원에 거래 중이며, 탄핵심판 선고 기일 발표 후 급등했던 환율을 되돌리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음. - 외국인들이 달러 선물 포지션을 매도로 빠르게 전환하며 환율 하락을 주도하였고, 수출업체 내부 물량도 불확실성 해소 영향에 조금씩 내놓고 있음. - 그러나 오늘 저녁 트럼프의 상호 관세, 금요일에는 탄핵심판 선고 등 대형 이벤트를 앞두고 1,465원 부근에서 하단이 지지되고 있으며, 트럼프의 상호 관세 정도에 따라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음. - 또한, ADP에서 집계하는 민간 고용지표 발표 예정되어 있고, 미국 경기에 대한 시장 경계감이 높아진 만큼 고용지표도 주목해야 함. - 중장기적으로 보면, 2023년부터 이어진 달러화 약세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미국 경기 불안감과 유로화 강세 때문임. - 2분기에도 미국 경기 불안감은 지속되나 달러화가 빠른 약세를 보이기는 어려움. 관세 발표 후 각국과 협상 과정이 남아있어 불확실성 장세가 지속되며, 달러화가 하방 제약적인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 원화 환율은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일시적 하락하겠으나 해외 투자 기조 확산으로 수급 부담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어 달러 대비 하락폭이 작을 것으로 보임.
유료 관세 정책 앞두고 눈치 보기.. "일부 업종은 방긋" 2025-04-02 15:37:31
● 핵심 포인트 - 관세 정책 발표를 앞두고 시장 전반에 불안감이 작용하며 양 시장 약세. - 코스피는 시총 상위 3개 종목(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의 선방으로 0.6% 하락하며 2500선 사수. - 코스닥은 공매도 리스크까지 더해져 0.9% 하락한 684선에서 마감. - 외국인 투자자는 대형주 위주로 매도하며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에서 총 1조 8천억 원대 물량 출회. - 개인 투자자와 연기금의 강한 순매수로 기관은 총 1480억 원대 매수. - 업종별로는 화장품, 미용의료, 음식료, 조선기자재, 방산이 선방. - 한국의 화장품 1분기 수출액이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며 관련주 상승. - 음식료 업종은 내수 방어주로서의 메리트 부각되며 상승. - 조선기자재 업종은 미국의 중국 조선소 제재와 탄소세 시행안으로 인한 반사이익 기대감에 상승. - 방산 업종은 코발트 가격 급등으로 인한 비용 증가 우려로 전반적 약세.
회원 2차 전지와 바이오 약세 속 반도체 상승 기대 2025-04-02 15:31:41
● 핵심 포인트 - 코스피는 0.6%, 코스닥은 1% 하락 마감 예상되며, 2차 전지와 바이오 관련 종목들이 하락세를 주도함. - 레거시 반도체 가격 상승 및 삼성전자의 1분기 실적 발표 이후 본격적인 상승이 기대됨. - 코스닥 시장에서는 상위 15개 종목 중 6개가 상승했으며, 미용과 관련된 바이오 혹은 미용 사업을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종목들이 강세를 보임. - 환율 안정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의 현물, 선물 대량 매도가 시장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여러 가지 수급적인 변화 요인이 지속적인 하락을 부추기는 것으로 판단됨. - 미국의 매크로 지표들도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며, 스태그플레이션 같은 경기 침체나 물가 상승이 높아질 경우, 관세 부과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됨. - 미용기기 관련 종목으로는 휴젤을 추천함.
유료 "에이비엘바이오, 기술력 좋지만 당장은 관망 필요" 2025-04-02 15:31:20
● 핵심 포인트 - 외국인은 삼성전자, 삼성중공업, HLB생명과학, 카카오를 매도 중이며, 기관은 에이비엘바이오, 삼성전자, 팬오션을 매수 중임. - 에이비엘바이오는 담도암 신약 후보물질 임상시험 1차 지표에 충족했다는 결과를 발표했으나 주가가 하락함. - 이는 연구비 지출로 인한 작년 영업이익 적자 때문으로 분석됨. -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기업의 이중 항체 플랫폼 기술력은 뛰어나며, 이를 바탕으로 한 표적항암제 개발 가능성이 있음. - 따라서 현재 주가가 3만원 근처까지 하락할 때까지 관망 후 매수하는 전략을 추천함.
유료 K-조선 VS. K-미용기기, 현시점 최선의 선택은 2025-04-02 15:26:22
● 핵심 포인트 - 외국인과 기관의 거센 매도 속 순매수 상위 종목 확인 - 외국인 : 전반적으로 금융주 및 나인테크, 랩지노믹스 매수 중 - 기관 : 삼성중공업, 원텍, 화장품 주 등 매수 중 - 조선과 미용기기 섹터 모두 3월 수출 데이터 훌륭함 - 기관은 삼성중공업과 원텍을 4거래일 연속 매수 중 - 전문가는 단기적으로 원텍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 PER 기준으로 삼성중공업은 25배, 원텍은 17배로 차이 남 - 원텍의 수출 비중이 매년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의 매출 증가가 눈에 띔 - 동사의 비즈니스 모델은 클래시스와 유사하며 소모성 부품 판매로 인한 수익 창출 기대
유료 신규 상장주 '한텍', 미국 LNG 프로젝트 수혜 기업 상한가 2025-04-02 15:23:34
● 핵심 포인트 - 화학공업 기기업체인 한텍이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LNG 프로젝트의 최대 수혜 기업으로 꼽히며 상한가를 기록함. - 상장한 지 2개월 차로, 최대주주는 후성이며 지분율은 약 70%임. 실제 유통 물량이 적어 부담이 적음. - 주요 사업은 화공사업부와 탱크사업부로, 암모니아나 LNG 관련 물질을 담거나 분석하는 기술 보유. - 미국 시장에서의 LNG 수요 증가로 인해 LNG 프로젝트 관련주 및 대규모 수주 관련주로 엮여 주가 상승 중. - 탄소 배출권 및 탄소 포집 분야에서 압도적인 기술을 갖고 있어 친환경 미래 가치주로도 부각받을 가능성이 있음. - 다만, 3개월 차에 보호예수 물량이 풀리는 경우가 있어 수급적인 우려 존재. 따라서 추격 매수보다는 조정 시마다 분할 접근하는 전략이 유리할 수 있음.
유료 조선, 화장품, 음식료 상승세…바이오 하락세 2025-04-02 15:16:54
● 핵심 포인트 - 조선주: 삼성중공업은 하락 전환했으나 조선기자재 쪽은 상승 탄력 유지 중 - 화장품주: 애경산업의 매각설 부인에도 실리콘투와 펌텍코리아는 강세 시현 - 음식료주: SPC삼립은 KBO빵 흥행, 빙그레와 삼양식품은 해외 판매 호조로 상승 - 바이오주: 에이비엘바이오, 셀트리온, 바이넥스 등 어제 상승했던 기업들은 큰 폭의 하락세 - 실리콘투: 북미 진출을 선언한 CJ올리브영과의 협업 기대감으로 상승 중이며, 향후 실적 기대됨 - 화장품 섹터: 전반적인 훈풍이 예상되며 K-조선, K-화장품, K-음식료 모두 긍정적
유료 반등 성공...한미 FTA 관세 철폐 효과는 인정 2025-04-02 15:16:16
● 핵심 포인트 - 4월 첫 거래일인 어제, 시장은 반등에 성공함.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 지정으로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가능성이 영향을 미침. -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한국의 무역장벽 보고서가 공개됨. 한국은 한미 FTA 관세 철폐 효과를 인정 받음. - 3월 수출은 전년 대비 3.1% 증가하였고, 15대 품목 중 7개가 플러스를 기록함. 특히 반도체와 조선업종이 강세를 보임. - 증권가는 향후 수출 전망에 대해 불확실성을 언급하며, 미국의 고율 관세를 그 이유로 지적함. - 상호관세 발표 내용에 따라 글로벌 시장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됨.
유료 中 "관세 부과시 협상 없다"..."엔화 140엔 초반까지 강세" 2025-04-02 15:14:49
● 핵심 포인트 - 중국 왕이 외교부장이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협상에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 밝힘 - 골드만삭스는 올해 엔화가 달러 대비 140엔대 초반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는 미국의 경제 성장과 관세에 대한 불안으로 안전자산의 수요가 늘어난 결과라고 설명 - LG전자 인도법인이 이번 달 마지막 주 인도 증시에 상장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약 2조 4천억 원 규모를 조달할 전망 - 대미 무역 의존도가 높은 태국이 미국과의 무역 흑자를 줄이기 위해 에너지와 식품 수입을 늘릴 계획
무료 관망 짙어지는 4월 첫 주 증시...관세·탄핵 이슈에 발목 2025-04-02 15:06:40
● 핵심 포인트 - 4월 첫째 주, 상호 관세 세부 내용 발표 여부와 탄핵심판 선고일을 앞두고 양 지수는 관망세가 짙은 모습을 보이며 빠르게 하락 전환함. - 코스피 2500선과 2530선 사이에서 움직이며, 2차 전지 및 바이오주들의 낙폭 확대로 2500포인트 겨우 지켜냄. - 외국인은 4거래일 연속 거래소에서 매도 중이며, 현재 7245억 원 매도 물량 거센 상황. - 코스닥도 오후 2시 이후 낙폭을 확대하며 바이오, 2차 전지주의 약세로 1% 넘게 빠짐. - 코스닥에서는 외국인이 5거래일 연속 매도중이며 2754억 원 팔자세를 기록했고, 반면 개인은 2700억 원 넘게 사자세를 기록함.
무료 "천연가스 ETF, 원자재 가격 상승 속 대안 투자처" 2025-04-02 14:52:45
● 핵심 포인트 - 천연가스 ETF는 현재 대부분의 섹터가 충격을 우려하는 상황에서도 호재를 기다리는 섹터 중 하나임. -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2천만 톤 규모의 큰 프로젝트로 수요처 및 투자처 확보를 위해 한국과의 협력이 중요함. - 미국은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이후 LNG 최대 수출국이 되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 가스 수입 증대를 주장함. - 천연가스는 친환경 에너지이지만, 셰일가스 추출 과정에서 오염이 발생함. - 천연가스 ETF는 주로 가스 가격에 연동된 상품 가격에 투자하였으나, 최근에는 천연가스 인프라 기업에 투자하는 ETF도 상장됨. - ETN은 천연가스 가격의 방향성에 투자하는 증권으로, 선물 계약을 통해 가격 변동에 따른 레버리지 및 인버스 상품이 다양함. - 반면, ETF는 천연가스 관련 인프라 기업의 주식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산업 성장에 따른 수혜를 기대할 수 있음.
유료 일본 엔화 환율 안정세…현대차 인도시장 2위 탈환 2025-04-02 14:41:12
● 핵심 포인트 - 아시아 증시 전반적으로 소폭 상승중이며, 특히 일본의 엔화 환율이 미 재무장관의 발언 이후 관세 완화 기대감으로 149엔대 후반에 머무르며 토요타 및 도쿄일렉트론 주가 상승함. - 현대자동차가 인도 자동차 시장에서 내수 2위 탈환에 성공했으며, 전월 4위에서 두 계단 오른 점유율 2위를 기록하며 인도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확대중임. - 3거래일만에 상승 전환한 SENSEX 지수는 서서히 상승폭을 늘리고 있으며, KODEX 인도Nifty50 ETF는 0.3% 하락했으나 NIFTY 지수는 빨간불을 켬. - 베트남 증시는 관세 위협에도 불구하고 2거래일 연속 견조한 상승세를 보이며 금일 0.4% 상승하였고, ACE 베트남VN ETF 또한 0.2% 상승함. - 대만의 경우 중국의 대만 포위 훈련으로 인한 리스크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방산주들이 지수를 끌어올림으로써 2거래일째 상승중이나 현재는 0.01% 상승률로 제자리 걸음 상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