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음식료 섹터 상승세 지속, 오리온과 농심 주목 2025-03-20 09:49:57
- 음식료 섹터에서 CJ프레시웨이, 우양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삼양식품은 신고가 패턴을 나타냄. - 원재료 가격이 안정화되어 있어 마진과 수익성 확보가 용이함. - 오리온은 PER 10배 언더에서 상승하여 10대 초반이며, 2월 매출 영업이익이 30% 이상 증가함. - 농심은 신라면 툼바의 반응이 좋아 상승세가 두드러지며, 수출 비중이 20% 정도임. - 오뚜기는 다음 달에 라면값을 평균 7.5% 올릴 예정으로, 기업 측면에서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됨.
유료 "조선·전력 설비株, AI 노이즈에도 매수 기회 있어" 2025-03-20 09:41:54
- 금일 시장에서는 주도주였던 방산주, 조선주, 전력 설비 관련 종목들이 조정을 받음. 특히 전력 설비 관련 종목들의 낙폭이 컸음. - 그러나 전력 설비 관련 종목들은 AI 관련 노이즈로 인한 CAPA 축소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수주 베이스 사업임을 고려하면 매수 기회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대표적으로 HD현대일렉트릭과 산일전기를 주목할 만함. - 한편 한화는 호주 오스탈 인수를 시도 중이나, 오스탈 CEO가 한화 이사회 합류를 거부하고 있음. 지난해에도 한화 오션을 통해 인수를 시도한 바 있으나, 현재 구체적인 현황은 불분명함. - 오스탈은 미국 해군의 주요 함정 공급 업체로, 인수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상승했으나, 현재는 잡음으로 인해 하락 중. 한화 그룹 주를 중심으로 변동성이 예상됨.
유료 방산주, 급등 후 조정.."현대로템 톱픽 선정" 2025-03-20 09:41:28
- 방산주는 최근 급등 후 조정 중이며, 순환매 차원에서 일부 종목은 쉬어갈 수 있음. - 그러나 여전히 유럽의 국방비 증액 등 글로벌 방산 시장의 성장세는 지속되고 있음. - 한국항공우주, 한화시스템 등 고평가된 종목은 매수 시점을 4월 초 이후로 늦추는 것이 좋음. - 반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현대로템 등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종목은 주목할 만함. - 특히, 현대로템은 톱픽으로 추천함.
유료 탄력 키우는 화장품주...저가 매수 유입·북미 시장 진출 확대 2025-03-20 09:40:35
- 화장품주 중 거래소에서는 에이피알, 토니모리, 코스닥 시장에서는 실리콘투가 상승 탄력을 키워가며 9%대 오름세를 보임. - 화장품 섹터 전반적으로 급반등이 나오는 가운데 실리콘투는 저가 매수 유입으로, 에이피알은 북미 시장 진출 확대로 인한 상승세임. - 펌텍코리아는 화장품 용기 업체로 K-뷰티 트렌드의 수혜를 받을 종목으로 꼽힘. - 아모레퍼시픽, 선진뷰티사이언스 등 다른 화장품 종목들도 바닥권에서 올라오는 중이며, 특히 실리콘투는 눌림목이 나타날 때 접근 가능하다고 판단됨.
유료 미 연준 금리동결..."환율 상단은 1,460원선" 2025-03-20 09:32:17
- 20일 달러 환율은 4.6원 오른 1,458원으로 출발 후 현재 1,456~1,457원 사이에서 등락 중 - 19일 미국 달러 지수 0.2% 상승함. - 미국 3월 FOMC 회의 기준금리 동결 및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 물가 상승 예측 발표 - 양적 긴축인 QT규모 축소 결정으로 시장은 예상보다 덜 매파적이라고 평가 - 미국채 금리 하락, 뉴욕 증시 반등, 달러도 이에 따라 반등 - NDF 역외 환율에서는 달러 강세에 따른 6.0원 상승한 1,456.75원의 호가 확인 - 불확실성 해소 측면에서 긍정적이나, 튀르키예발 불안 요소 존재해 환율 하단 방어 요인으로 작용 가능성 있음 - 금일 환율 상단은 1,460원 선에서 막힐 것으로 보이며, 하단은 1,450원 수준에서 머무를 것으로 예상
유료 POSCO 홀딩스, 일본제철 지분 4600억 매각에 상승세 2025-03-20 09:30:38
- POSCO홀딩스가 일본제철의 주식 4600억 가량을 매각한다는 소식에 5% 내외의 오름세를 보이고 있으며, 장중 한때 6.5%까지 상승함. - 이번 매각은 밸류업 차원에서의 분석이 나오며, 2차 전지의 오름세도 상승세에 힘을 보탬. - 2020년부터 일본제철과 POSCO 홀딩스는 상호 협력 관계에서 서로간의 주식을 보유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일본제철은 작년에 모든 POSCO홀딩스 주식을 매각하였고, 이번 POSCO홀딩스의 매각으로 두 회사 간의 관계가 정리될 것으로 보임. - 31일부터 공매도 진행 예정으로, 수급상으로 많이 끌어올렸던 종목들의 차익 실현이 예상되는 반면, 상대적으로 많이 빠졌던 종목들은 숏커버가 강하게 들어올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음.
유료 코스닥 장 초반 상승세...기계장비·금융업 강세 2025-03-20 09:29:55
- 코스닥 지수 0.52% 상승 중이며, 기계 장비, 금융, 화학, 전기전자, 유통, 제조업종이 강세이나 금속과 제약업종은 부진함. - 상승률 상위 업종은 기계장비 업종(1.52%)이며, 신규 상장 종목인 한텍과 티엑스알로보틱스가 각각 123%, 64%대 강세, 뉴온은 적정 감사 의견 발표로 상한가 진입함. - 반도체주 훈풍 속에 주성엔지니어링(6%), HPSP(4.5%)가 상승 중이며, DSC인베스트먼트(12%), TS인베스트먼트(10%) 등 금융업종도 강세임. - 하락률 상위 업종은 제약업종이며, 애니젠(-5.88%), 대화제약(-2.4%), HLB(-1.8%), HLB생명과학(-1.77%), 티앤알바이오팹(-6%) 등이 하락세임. - 대형주에서는 반도체주와 2차전지주인 주성엔지니어링(6%), HPSP(4.33%), 엔켐(3.16%) 등이 상승세임. - 중형주에서는 엣지파운드리(15%), 소룩스(13%), 펌텍코리아(4.79%), CJ프레시웨이(4.6%) 등이 오름세임. - 소형주에서는 딥마인드(29%), 포바이포(12.79%), DS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등이 강세임.
유료 주총 시즌 개막..."기업별 주주제안 대응 주목" 2025-03-20 09:28:15
- 본격적인 주주총회 시즌이 시작되며, 많은 기업들이 총회를 열고 있음. - 삼성전자의 경우, 주주총회에서 소액주주들의 입지가 커지고 있으며, 주주제안 안건 상정 기업 및 안건 수도 증가함. - 이러한 변화는 소액주주들의 경영 참여 기회를 확대시키며, 기업들에게는 쇄신책 마련의 기회로 작용함. - 현대모비스는 2033년까지 글로벌 고객사 비중을 40%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였고, 삼성전기는 유리기판 및 AI 기업들과의 협력 진행 상황을 공유함. - 향후 현대차, POSCO 홀딩스, LG전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NAVER, 카카오, LG, SK 등 대형 기업들의 주주총회가 예정되어 있어 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유료 외국인·연기금 매수세에 반도체주 들썩..2650선 안착 기대 2025-03-20 09:10:09
- 삼성전자는 1.71% 상승했고, 외국인은 3거래일 연속 매수 중이며 어제까지 1조원 가까이 순매수 - 연기금은 최근 4거래일 연속 7천억 원 정도의 순매수했으며, SK하이닉스에도 매수세가 지속 - 이런 강한 매수세로 인해 코스피 지수가 2650선에 안착할 것으로 기대 - 개인들은 삼성전자 대신 반도체 소부장 종목들을 매수하고 있으며, 특히 레거시 반도체 쪽에 대한 기대감으로 기판 관련주들의 움직임이 활발 - 대표적으로 코리아써키트, 심텍 등이 있으며, DB하이텍도 중국 수요 증가로 상승세 - 또한, 주성엔지니어링 같이 레거시 반도체향 장비주도 강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음
유료 미국발 훈풍에 국내 증시 상승 출발, 반도체와 화학 업종 강세 2025-03-20 09:08:19
- 미국발 훈풍에 국내 증시 상승 출발, 특히 반도체 분야가 증시 견인 - 외국인과 기관의 삼성전자 집중 매수, 최근 3거래일 연속 강한 순매수세 - 어제 하루 동안 2700억 원 이상 삼성전자 순매수, 전체 거래소에서도 강한 순매수세 지속 - 코스피 0.68% 상승, 코스닥 0.65% 상승하며 뉴욕증시의 FOMC 안도감에 반응 - 화학 업종이 가장 강세, SK이노베이션 4.65% 상승, LG화학 2% 상승 등 석유화학주 전반적 호조 - 금속 업종도 강세, POSCO 홀딩스 4.9% 상승, 포스코스틸리온 2.21% 상승 등 - 상승률 상위 종목은 엑시큐어 하이트론 16% 급등, 태영건설 7% 상승 등 - 하락률 상위 종목은 한올바이오파마 6% 하락, 풀무원 3% 하락 등
유료 노무라증권, 삼성바이오로직스 목표가 140만원으로 상향 2025-03-20 09:05:13
- 노무라증권, 삼성바이오로직스 목표주가 140만 원으로 상향 조정. 이전 목표주가 84만 원 대비 큰 폭 상승. 미국 내 의료 정책 영향으로 CDMO 시장 성장 및 바이오시밀러 시장 확대 전망. 국내 증권사 중 최고 목표가는 135만 원. - 현재 선물시장 분위기는 아랫방향으로의 풋옵션은 345포인트의 거래가 많고, 이를 종합주가지수로 바꾸면 2580포인트를 염두에 둔 매매이며, 윗방향 상승 방향으로는 콜옵션 355포인트의 거래가 많아 이를 종합주가지수로 바꾸면 2660포인트를 염두에 둔 매매로 어제보다 약 20% 상승한 가운데 거래됨. - 거래소 시총 상위 종목 중 반도체 섹터 두 종목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각각 1.7%, 1.4% 상승 출발 예상되며, LG화학 2%대, SK이노베이션 5%대, 삼성SDI 1.3%대, POSCO 홀딩스 1.4% 대 상승 출발 예상됨. - 코스닥 시장도 코스피와 함께 상승 출발 예상되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강세 출발에 따라 코스닥 소부장 전반적 상승 두드러질 것으로 보임. IT 중소형주는 2% 전후 강세 출발 예상되며, 시중 금리 하락으로 알테오젠, 에코프로비엠 같은 바이오와 2차 전지는 상승 흐름에 힘을 얻지 못하는 모습이나 소폭 상승함.
유료 SK온, 닛산과 15조원 규모 배터리 공급 계약 체결 2025-03-20 08:58:24
- SK온이 닛산과 2028년부터 6년간 15조 원 규모의 배터리 공급 계약 체결. - 미국 내 생산라인은 기존 4개에서 추가 증설 없이 진행되며 북미 생산에 대한 기대감 상승. - SK이노베이션은 시간 외 거래에서 5.85% 상승하였으며 자회사인 SK아이이테크놀로지도 동반 상승중. - 다만 실제 실적 반영까지 시차 존재하나 전기차 섹터 및 2차 전지 분야의 긍정적 신호로 작용 가능.
유료 [프리마켓] 자동차 부품주 강세...증권사도 호평 2025-03-20 08:38:29
- 프리마켓 시장에서 반도체 섹터와 함께 자동차 부품주들이 일부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 - 현대차와 기아의 주가 상승 제한 상황에서 관세 정책 완화 기대감 존재. - 4월 2일부터 캐나다,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 재개 가능성 있으나 트럼프 정책 변화 기대감도 있음. - 미국 현지 생산 가능한 부품주들을 중심으로 움직임 예상. - 공매도 재개 후 상대적으로 덜 오른 섹터 강세 전망 의견 존재. - 대신증권은 공매도 재개 시 자동차주에 외국인 매수세 유입 및 관세 우려 완화 예상 보고서 발표.
유료 "비야디 급속 충전기술 보유"..."액침냉각주 눌림목에서 매수" 2025-03-20 08:37:17
- 대진첨단소재는 비야디 관련 급속 충전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과의 관계성으로 인해 주목받고 있음. 현재 5분 충전 시 400km 주행이 가능하나, 기술 발전에 따라 더욱 향상될 것으로 전망됨. - 액침냉각 기술은 전기차, ESS, 반도체 등 열을 많이 발생시키는 장비의 냉각에 필요한 기술로, SK하이닉스 자회사 솔리다임의 액체 냉각식 eSSD 공개로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음. - 해당 기술은 AI 확산과 데이터 센터의 증가로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의 데이터 센터 해양 설치 계획 등 관련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 삼성공조는 자동차 부품 라디에이터 제조 업체로 액침 냉각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젠슨 황의 블랙웰 발열 문제 해결 발언 이후 지속적인 거래량 증가와 상승 모멘텀을 보임. - 국내에서는 GTC에서의 공조 및 액침 냉각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 부재로 관련 주들이 하락하였으나, 전문가는 이를 눌림 자리로 판단하고 있으며, 이전 고점을 상회하는 모멘텀 발생 시 수익 실현을 추천함.
유료 봄바람 부는 반도체 시장..."제주·어보브반도체 주목" 2025-03-20 08:33:31
- 오늘의 공략주는 레거시 반도체인 제주반도체임. - 모건스탠리가 부정적인 전망을 뒤집고 긍정적인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반도체 시장에 봄이 올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짐. - 낸드플래시 가격 인상 및 일본, 대만의 레거시 반도체 종목들의 상승세에 따라 국내 반도체 종목도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판단됨. - AI 수요 확대로 인한 이구환신 효과로 레거시 반도체 전반에 대한 수요 증가 예상. - 제주반도체는 현재 오름세이나 추가 상승 여력이 있으며, 어보브반도체와 비슷한 차트 흐름을 보임. - 코스닥에는 플랜트 건설용 화공 기계 제작사인 한텍과 자동 유도 로봇 개발사인 티엑스알로보틱스가 신규 상장함.
유료 SNT에너지, 국내외 호재 만발..."목표가 3.7만원" 2025-03-20 08:32:35
- SNT에너지는 발전소 및 석유 화학에 필요한 열교환기와 보일러를 생산하는 기업임. - 미국 알래스카 LNG 사업은 트럼프 행정부부터 이어져 오는 정책으로 해당 사업에 참여중인 SNT에너지의 성장성을 기대함. - 특히 주력 제품인 에어 쿨러의 미국 LNG 프로젝트 공정 내 점유율이 30%라는 점이 긍정적 요소임. - 또한 국내에서는 한수원에 원전 부품을 공급하고 화력발전소와도 계약을 맺는 등 다양한 고객사를 보유 중임. - 해외 수주 현황으로는 현대로템, 현대 엔지니어링, 두산 에너빌리티 등 굵직한 기업들과의 거래 내역이 있음. - 한편 미국의 SMR 대장주인 뉴스케일 파워의 주가 상승 역시 호재로 작용함. - 현재 가격대는 지난 최고점 대비 15% 하락한 수준이나 곧 터닝포인트가 올 것으로 예상됨. - 따라서 매수 시 목표가는 37000원, 손절가는 28500원을 제시함.
유료 CJ 목표가 18만원 상향...비에이치아이 목표가 2.7만원 2025-03-20 08:28:27
- CJ : 올리브영 지분 인수 후 지배 구조 개편 가능성 증가로 하나 증권이 목표 주가를 14만 원에서 18만 원으로 상향 조정함. 올리브영의 기업가치가 CJ 주가에 아직 반영되지 않았으며, 주요 자회사들의 실적 회복도 기대됨. - 비에이치아이 : 원전과 LNG 프로젝트 수주 확대로 인한 올해 실적 성장 기대되며, 신한투자증권이 목표주가를 2만 7천원으로 상향조정 함. 배열회수보일러 사업 확대와 미국 법인을 통한 북미 복합화력발전 시장 진출로 글로벌 시장 확장중임. 올해 매출액 6230억원, 영업이익 344억원으로 전망되어 전년대비 대폭 상승 예상됨.
유료 전고체 탑픽은 이수스페셜티케미컬...투자포인트는? 2025-03-20 08:24:37
- 2차 전지 중 '전고체 배터리' 분야에 주목 필요 : 전기차 배터리 니즈인 안정성과 긴 충전 시간 측면에서 꿈의 배터리로 불리며, 국내 기업들이 상용화를 앞두고 있음. 2030년에는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60조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국내 배터리 3사인 SK온, LG에너지솔루션, 삼성 SDI간 경쟁이 치열하나 현재 삼성 SDI가 가장 앞서가고 있음. 27년 상용화 예정이며 이미 시제품 양산 및 테스트 진행 중임. - 전고체 배터리 소재 분야에 집중 제안 : 관련 관심주로 이수스페셜티케미컬 제시. 해당 기업은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인 황화 리튬을 생산하며 국내 배터리 3사를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음. - 연기금이나 기관의 지속적 매수와 기술적으로도 바닥을 다진 후 터닝 포인트가 확인되어 안정적 흐름을 보여줌. 장기 투자 관점에서 접근 고려 가능.
유료 모티브링크·DSC인베스트먼트 수익실현 전략은? 2025-03-20 08:22:19
- 모티브링크는 현대기아차의 현대모비스를 통해 전기차 부품을 납품하고 있으며, 수요 회복에 따른 기대감이 있음. - 지난주 공약 이후 어제도 좋은 상승이 있었으며, 현재 구간에서는 1만 3천원 대에서 일정 부분 수익 실현 후 잔여분은 1만 6천원 대까지 보는 전략 제시. - 조선주는 미국과 중국의 조선업, 해운업 견제에 따라 대한민국이 독보적인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 - 국내 기업들은 고부가가치선 수주 증가 및 미 군함 수리 MRO 사업 진출 중이며, 관련주로 한화오션과 HD현대마린솔루션 제시. - 퓨리오사AI는 메타와의 1조원대 매각 성사 여부가 주목되고 있으며, 관련주로는 DSC인베스트먼트, DS인베스트먼트, 포바이포 등이 있음. - DSC인베스트먼트는 메타와의 매각이 진행될 경우 슈팅이 나올 수 있어, 이를 수익 실현 기회로 활용 가능.
유료 구리값 상승세 지속..."풍산·이구산업·대원전선 주목" 2025-03-20 07:57:07
- 구리 가격 상승 지속, 관련주 강세. 향후에도 상승 전망. 상승 요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가능성 조사 명령, 중국 내수 부양 정책, 칠레의 공급량 감소. 1톤에 1만 달러 시대 전망. - 관련주: 풍산(방산 이슈와 함께 지속적 주가 상승 및 실적 기대), 이구산업(구리 제품 매출 증가 기대), 대원전선(자동차 배선용 고부가가치 제품 매출단 높음, 최근 주가 변동성 하락) - 농심, 매출의 80%가 라면 차지, 미국 등 라면 수출 전년 대비 30% 증가, 미국 시장 점유율 19%(삼양식품의 2배 이상). 최근 라면/과자 가격 평균 7.2% 인상으로 수익 증가 기대. 목표가 52만 원, 손절가 38만 9천 원. - 삼양식품과의 비교 시 현재는 삼양식품이 우월하나, 삼양식품이 100만 원 도달 시 농심으로 매기가 전환될 가능성 존재. 업종 내 순환매 가능성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