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아시아 증시 상승세 속 인도 증시 3거래일째 하락 2025-08-07 14:45:06
- 아시아 증시 목요일 장 대부분 상승세 보임
-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효와 반도체 품목관세 예고에도 미국 증시 상승함
- 인도 증시, 트럼프 대통령의 인도산 제품에 대한 50% 관세 부과 결정으로 3거래일째 하락 중이며 지수 8만선까지 후퇴함
- 대만 증시, 대만의 대표 기업 TSMC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100% 반도체 수입 관세에서 제외될 것이라는 발표 후 해당 ETF 연고점 경신 및 반도체주 중심으로 상승세
- 홍콩 거래소, 샤오미의 주가가 미국의 투자은행 제프리스의 목표주가 하향 조정으로 4% 넘게 급락하였으며 알리바바, 메이투안단은 1~2%대 상승세 보이며 항셍 지수 4거래일 연속 상승중
유료 카카오, 내달 오픈AI와 공동 개발한 AI 에이전트 출시 2025-08-07 14:23:24
- 카카오가 다음 달 오픈AI와 공동으로 AI 에이전트 출시 예정이며, 이프 카카오를 통해 실제 형상 공개 및 제품 직접 사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단순 문답형 AI가 아닌 카카오 생태계 내 다양한 서비스를 넘나드는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이며,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한국 B2C AI 서비스 시장 선점 기대감을 밝혔다.
- 카카오톡의 대대적 개편 진행, 친구 탭과 쇼핑 탭 중심으로 5개 탭 업데이트되며, 카카오톡 대화 맥락에서 작동하는 AI 서비스 선보일 예정이다.
- 이번 AI 서비스는 카카오가 자체 개발한 온디바이스 경량화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국내 최초 온디바이스 AI 서비스가 될 전망이다.
- 카카오는 AI 관련 모든 분야를 '카나나'로 브랜딩 하여 인프라부터 언어, 모델, 에이전트B2C AI 서비스를 포괄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AI 에이전트 플랫폼 생태계 구축 목표한다.
- 한편, 지난 국가대표 AI 선발전 탈락에 대해 정 대표는 정부와 카카오의 AI 방향이 다르지 않다며, AI 서비스 제공에 집중할 것이라 밝혔다.
- 2분기 어닝서프라이즈 기록, 영업이익 185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하였으며, 톡 비즈 성장세와 비용 효율화가 주효했다.
유료 무비자 입국 허용에 카지노주 들썩...파라다이스, 롯데관광개발 수혜 2025-08-07 14:23:13
-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 허용으로 외국인 대상 카지노 업종의 주가 상승 - 롯데관광개발과 파라다이스는 올해 들어 100% 넘게 주가 상승, 시가총액 1조 원 돌파 - 오는 9월 29일부터 내년 6월 말까지 3인 이상 중국인은 인천, 부산 등 무비자 입국 가능 - 상반기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중 중국인이 28%로 가장 큰 비중 차지 - 롯데관광개발은 올해 2분기 331억 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창사 이래 분기 기준 최대 실적 기록 - 증권가는 3분기에도 최대 실적과 당기 순이익 흑자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 전망 - 파라다이스는 인천공항에서 10분 거리에 외국인 대상 카지노를 운영, 지리적 이점이 커 중국인 고객 증가 예상 - 증권가는 중국 관광객 유입으로 파라다이스의 3분기 실적 반등을 전망, 연간 영업이익 1700억 원 예상 - 파라다이스는 중국 고객 유치를 위한 맞춤형 상품 개발과 다양한 이벤트를 전개 예정
유료 애플 이어 테슬라까지..삼성전자 파운드리 경쟁력 강화 2025-08-07 14:09:41
- 빅테크 기업인 테슬라와 애플이 잇따라 삼성전자와의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부의 경쟁력 강화 및 실적 개선 기대감 상승
- 특히 애플과의 계약은 기존 오스틴 공장에서 진행될 예정으로, 삼성전자의 기술력보다는 안정적인 생산 능력이 높게 평가받은 것으로 판단됨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적극적인 경영 행보와 함께 이루어진 이번 계약으로 삼성전자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 증가
- 향후 엔비디아 품질 테스트 통과 시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부 본격적인 반등 예상
유료 숨겨진 조선주를 찾아라 2025-08-07 13:58:11
- 조선주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숨겨져 있는 조선주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
- 미국의 조선소 수는 중국에 비해 많지만, 시설이 낙후되어 있거나 폐쇄되어 있어 경쟁력이 낮음.
- 2024년 전 세계 배 척에 대한 미국의 점유율은 약 0.3%로 매우 낮으며, 이로 인해 미국과 중국의 무역거래에서도 중국 선박이 주로 사용됨.
-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으며, 법안 재발의를 통해 미국 선박 수주 증가 가능성이 높아짐.
- 따라서 한국의 뛰어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조선주들의 강세가 예상되며, 친환경 선박 관련주인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HD현대미포 등과 엔진 부품 납품 기업인 케이에스피, 그리고 선박 수평 장치 및 내부 시스템 구축 기업인 한라IMS 등이 주목받고 있음.
- 또한, LNG/LPG 운반선에 사용되는 초저온 보랭재를 생산하는 한국카본과 동성화인텍도 재평가 가능성이 높음.
유료 "2차 전지 최선호株 LG엔솔·엘앤에프" 2025-08-07 13:49:21
- 엘앤에프가 2분기에 매출액 5200억 원, 영업적자 1212억 원을 기록함. 이는 리튬가와 판가 하락에 따른 재고평가 손실 및 신규 공장 가동에 따른 고정비 부담 증가, 환율 하락 등에 기인함. - 그러나 모델 Y 주니퍼향 니켈 95% 신규 제품 출시로 출하량이 전분기 대비 5% 증가하였으며, 3분기에도 40%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이는 테슬라 중국형 신규 모델과 유럽 전기차 시장 회복세에 따른 것임. - 또한 북미 시장에서 ESS용 배터리 양극재 공급 부족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엘앤에프를 비롯한 국내 양극재 업체들의 ESS용 LFP 양극재 수주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음. - 현재 미국 IRA 법안 수정 이후 ESS 부문에서도 탈중국 니즈가 부각되고 있으며,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 SDI도 미국에서 ESS용 LFP 배터리 생산 계획을 발표함. - 한편, 2차 전지 섹터에서는 전방 시장인 ESS의 확대에 투자 포인트가 옮겨가고 있으며, LG에너지솔루션과 엘앤에프가 주목받고 있음. 특히 엘앤에프는 지난 6월 LFP 양극재 생산을 위한 3천억 원 규모의 BW 발행을 발표했으며, 국내 양극재 업체 중 가장 빠르게 LFP 양극재를 준비하고 있음.
회원 코스피 3220선 회복...조선·K-특화 섹터 급등 2025-08-07 13:48:40
-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효 발표로 불확실성 해소되며 코스피 3220선 회복, 코스닥 0.1%대 상승 - 조선 3사와 정부가 중형 조선소를 공동 인수해 미 해군 함정 MRO에 특화된 조선소로 전환 계획, 중형 조선소로는 K-조선과 HJ중공업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며 HJ중공업은 24%대 급등 - 조선 섹터 랠리로 오리엔탈정공과 인하정공도 각각 18%, 12%대 급등 - 이번 주부터 엔터 및 화장품 등 K-특화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이어지며 해당 섹터 전반에 훈풍, K-김밥 우양, 어묵 만드는 한성기업, 풀무원도 강세
유료 스튜디오드래곤 · CJ ENM, 2분기 실적 악화 2025-08-07 13:33:59
- 스튜디오드래곤, 2분기 영업손실 29억 원으로 적자 전환 및 주가 하락 중. 현재 가격 4만 5550원.
- CJ ENM, 2분기 영업이익 28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 및 주가 상승 폭 축소 중. 현재 가격 6만 6800원.
- 실적 시즌이므로 종목별 실적 확인 필요.
유료 GM과 현대차그룹의 차량 공동 개발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2025-08-07 13:29:04
- GM과 현대차그룹이 차량 5종 공동 개발 계획 발표. 내연기관 및 하이브리드 모두 가능한 중남미 시장용 중소형 픽업트럭, 소형 SUV 그리고 북미 시장을 타깃으로 한 전기 상용 밴 5종이 포함됨.
-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발효로 한국은 자동차 부문에서 15% 관세 부과받게 됨. 기존 0%에서 상승한 것으로, 일본은 기존 2.5%에 15% 관세를 더해 총 17.5% 관세 부과 예정.
- 전문가는 이러한 관세 부과 악재는 완성차 기업에 충분히 반영되었으며, 향후 엔달러 환율과 원달러 환율 대비 한국이 어느 정도 우위에 있을 수 있는지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조언.
- 부품 장비 기업들은 관세를 피하기 위한 미국 투자로 인해 추가 발주에 대한 기대감이 있으나, 개별적인 움직임이 강해 섹터 전체를 긍정적으로 보기는 어려움. 대신 2차 전지 쪽을 긍정적으로 볼 만함.
유료 "LG화학 컨센서스 상회...석유화학 분야 주시" 2025-08-07 13:27:09
- LG화학 2분기 이익 476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 컨센서스 추정치 상회 - 주가 전 거래일 대비 0.8% 하락한 29만 8천원 선 - 석유화학 분야인 롯데케미칼, 대한유화 등과 함께 움직임 - 미국과 중국의 관세 협상 결과 주목해야 하며, 향후 석 달간 유예기간 동안 변화 예상
유료 "한미 정상회담, 조선업 MRO·안보 분야 협력 기대" 2025-08-07 13:13:14
- 한미 정상회담에서 안보와 함께 조선업 MRO에 대한 기대감이 유효할 것으로 예상됨 - SK그룹과 아마존의 데이터센터 구축 협업과 같은 제2의 프로젝트 논의 가능성 있음 - 트럼프 대통령이 난항을 겪고 있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재논의 가능성 있으며, 이 경우 조선 섹터가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됨 - 국내 리스크는 다소 해소되고 있으나 미국 경기 둔화 우려 등 국내외적인 요소는 불안한 상황 - 소버린 AI 정책 산업 가시화 중이며, 소프트웨어 AI 인프라까지 국내 AI 산업의 밸류체인 주시 필요 - 단기적인 투자 전략으로는 금리 인하 기대 시 채권 시장에 대한 관심 권장되며, 포트폴리오 자산 다변화도 좋은 방법일 수 있음
유료 의약품 관세율 인상 예고, 제약바이오주 영향은 어디까지? 2025-08-07 13:07:37
- 의약품 관세율 최대 250%까지 인상 예정으로 제약바이오주 타격 예상되나 기술 수출 기업들은 제한적 영향 받을 것으로 보임. 미국 관세 영향을 피하는 기업들과 중국향 수출 기업들 주목 필요.
- 현대차그룹이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수출 단가 인하 검토 중이며, GM과 손잡고 차량 개발에 나섬. 미국향 관세로 단기 수익성 영향 받을 것이나, 수출 시장 다변화 노력과 인도 시장에서의 유의미한 성적이 관세 어려움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코스피 지수가 3200선에서 지지되고 있으나 추가 상승을 위해서는 세제 개편안 재논의 결과와 외국인 수급 동향 중요. 외국인을 다시 끌고 들어오기 위해서는 한국의 주가 부양 의지와 친기업, 친산업화 방향 제시 필요.
유료 2차 전지 · 방산 · 화장품주 향후 전망은? 2025-08-07 12:55:59
- 2차 전지 업종은 상반기 전기차 수요 35% 증가, 로보택시 및 ESS 시장 급성장 등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으며, 중국의 2차 전지 구조조정 및 미국의 중국산 2차 전지 40% 관세 부과로 한국 기업의 기회가 확대됨. 특히, ESS 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주식 점유율이 3%에 불과해 중국 기업의 빈자리를 대체할 경우 빠른 실적 개선이 예상됨.
- 방산주는 글로벌 수주 선반영 및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로 모멘텀 둔화 조짐. 방위산업 자체는 글로벌리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국내 주도 산업 중 하나로 기대되나, 단기간 급등한 주가에 대한 밸류에이션 부담으로 조정 시 분할 매수 추천.
- 화장품주는 밸류에이션 부담이 있으나 중국 외 미국, 유럽, 중동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으로 실적 개선 중이며, K-뷰티 브랜드 파워 장기 지속 전망.
유료 현대글로비스, 52주 신고가 경신..증권가 호평 2025-08-07 12:32:34
- 현대글로비스가 52주 신고가를 기록하며 5%대의 강세를 보임 - 관세 영향이 크지 않고 주주환원 정책 강화 계획 발표로 증권가 호평 - 현대차 주가는 약세이나 지배구조 핵심 계열사인 현대글로비스의 강세 주목 필요
유료 미국 경기 우려 속 커지는 금리 인하 가능성 2025-08-07 12:31:01
- 미국 경기 우려 속에서도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요인이 지연되며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반감됨. - 그러나 고용 및 서비스업 지표 부진, 주택 가격 상승률 둔화 등이 디플레이션 요인으로 작용해 물가 상승을 제한함. - 9월 FOMC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이 90%를 넘어섬. -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 의장은 통화 정책의 독립성과 중앙은행의 역할 강조할 것으로 예상됨.
유료 달바글로벌, 분기 최대 실적 기대감에 강세 지속 2025-08-07 10:43:43
[종목: 달바글로벌]
- 내일 4시 반쯤 실적 발표 예정이며, 분기 최대 실적 기대감에 강세 지속 중
- 북미 지역에서의 높은 성장률 기록했으며, 관세가 3분기에 본격적으로 반영되더라도 실적 모멘텀 충분할 것으로 전망
- 미스트 매출 비중이 50% 이상이나, 선크림 등 기타 제품의 동남아 지역 성장세 주목
- 러시아 및 일본 외에도 해외 진출 확대 중이며,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확대되는 구간 진입
- 맥쿼리증권에서 29만 원짜리 리포트 발간, 하반기에는 라인업 다양화를 통해 60%까지 성장 기대
- 화장품 업종 내 종목별 차별화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하반기에 더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며, 셀온이 나오더라도 매집 가능성 있음
회원 8월 주식시장, 종목별로는 긍정적..관세, 한국 영향 적을 듯 2025-08-07 10:43:31
- 8월 주식시장은 일부 조정이 예상되지만 종목별로는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됨 - 미국에서는 관세와 경제 관련 이슈가 있으며, 고용지표 둔화로 인한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음 - 이러한 이슈들은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나 방향성을 바꾸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됨 - 미국의 품목관세는 미국내 투자유치를 위한 것으로 이미 대규모 투자를 발표한 한국 기업들은 해당사항이 없을 것으로 보임 - 또한, 실제 관세 부과시 그 부담은 미국 시민이 지게 되므로 한국 기업에게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됨
유료 삼성전자, 애플·테슬라와 협력 강화로 주가 상승 기대 2025-08-07 10:40:31
- 삼성전자가 애플 및 테슬라와의 협력 관계를 강화하면서 신뢰 회복 중이며, 주가 상승 가능성 존재함. - 삼성전자의 폴더블폰이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으며, 파운드리 분야에서도 테슬라와의 협력을 통해 성과를 내고 있음. - 미국 내에서 생산을 요구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으로 인해 애플이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고려 중임. - 대만의 TSMC가 주문을 소화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삼성전자가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빅테크 기업들과의 협력 가능성도 열려 있음. - 테슬라와의 협력이 삼성전자의 기술력 개선과 향후 수주 증가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유료 삼성전자, 파운드리 분야 긍정적 소식 이어져..하반기 주목 2025-08-07 10:26:13
- 삼성전자 주가는 최근 7만 원 돌파 후 외국인 매도로 인해 하락하였으나, 여전히 긍정적인 시각이 필요함.
- 파운드리 분야에서 긍정적인 소식이 들려오고 있으며, 해당 분야의 적자가 빠르게 회복될 가능성이 큼.
- HBM3E 및 HBM4에 대한 엔비디아의 적용 등 미래 전망이 밝음.
- 현재 조정이 나온다면 비중을 늘릴 필요가 있음.
- 반도체 대장주로서 SK하이닉스에 대한 관심이 삼성전자로 이동 중.
- 삼성전자의 밸류체인에 있는 종목들, 특히 파운드리 관련 종목들이 하반기에 부각될 것으로 예상됨.
유료 GM과 현대차의 신차 협력 개발, 주가에 어떤 영향 미칠까 2025-08-07 10:23:35
- GM과 현대차의 신차 협력 개발은 GM에게 이득일 것으로 예상됨. 이는 GM이 전기차 및 내연기관 분야에서 모두 부진한 상황이며, 현대차의 하이브리드 플랫폼을 활용함으로써 성장 동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임.
- 현대차 역시 GM과의 협력을 통해 최소 MSC에 대한 성장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부품사 중 화신이나 에스엘 같은 경우 GM으로의 부품 조달 확대 가능성이 있어 중소형 업체에 대한 힌트로 작용할 수 있음.
- 코리아에프티와 같은 부품주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